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심리 도식치료 2탄 - 심리 도식의 작용과 치료기법 (Schema Therapy Part 2 - Mechanisms and Therapeutic Techniques)

by cotakay 2025. 5. 5.
반응형

도식의 작용 메커니즘과 치유 방법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Deeply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and Healing Methods of Schemas)

1. 심리 도식의 정의와 구분 (Definition and Distinction of Schemas)

Schema Therapy Healing Process (도식치료 치유 과정)

도식(Schema)은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일종의 지도이자 필터입니다. 이 도식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져,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쉽게 말해, 도식은 "나는 이런 사람이다", "세상은 이런 곳이다"라는 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고정된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스키마(skhema)라고 부르며, 보다 구체적인 행동이나 사고 패턴은 스킴으로 구분합니다. 도식은 주로 어린 시절 중요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부적응적 도식이 형성되었을 때입니다. 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우리의 감정과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부적응적 도식의 세 가지 대처방식 (Three Maladaptive Coping Styles)

부적응적 도식이 활성화되면, 사람들은 이를 견디기 위해 세 가지 방식으로 반응합니다. 이는 모두 일종의 심리적 방어기제이며, 겉보기에는 도움이 되는 것 같지만 결국 도식을 더 강화시킵니다.

과잉 보상 (Overcompensation)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도식과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무시당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는 사람이 오히려 타인을 지배하고 통제하려고 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겉으로는 강한 모습처럼 보이지만, 내면의 상처를 숨기기 위한 방어입니다.

회피 (Avoidance)
도식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아예 관련된 사람이나 상황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친밀한 관계에서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아예 깊은 관계를 만들지 않으려 하거나, 감정을 마비시키기 위해 일이나 술에 몰두하는 행동이 여기에 속합니다.

굴복 (Surrender)
가장 수동적인 대처 방식입니다. 도식이 지배하도록 내버려 두고, 그것에 맞춰 살아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을 무가치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항상 비난하고 깔보는 사람 곁에 머무르며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입니다.

3. 부적응적 대처방식의 영향 (Impact of Maladaptive Coping Styles)

이 세 가지 대처 방식 과잉 보상, 회피, 굴복은 모두 도식을 더욱 강력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과잉 보상은 타인과 갈등을 유발하고, 회피는 문제를 직면하지 못하게 하며, 굴복은 스스로를 계속해서 상처 주는 환경에 노출시킵니다. 이런 방식들은 일시적인 불편함을 줄여주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식의 뿌리를 더욱 깊게 만듭니다.

4. 도식치료의 핵심 치료기법 (Core Therapeutic Techniques in Schema Therapy)

도식치료에서는 이러한 부적응적 대처를 인식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바꾸기 위해 여러 기법을 사용합니다.

도식 인식과 명명
내담자가 자신의 도식을 정확히 알고, 그것에 이름을 붙일 수 있도록 돕습니다. 도식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은 문제를 외부화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만들어 치료의 출발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늘 혼자다"라는 도식을 "고립 도식"으로 명명하며 인식합니다.

인지적 재구성
왜곡된 신념과 생각을 논리적으로 점검하고 도전하는 과정입니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비합리적인 생각을 인식하고 더 건강한 사고로 바꾸도록 이끕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항상 버림받을 것이다"라는 신념 대신 "모든 관계가 끝나는 것은 아니며, 나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도 있다"는 생각으로 전환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스스로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습니다.

정서적 경험 회복
과거의 억눌린 감정을 안전한 환경에서 다시 경험하고 표현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내담자가 어린 시절 충족되지 않았던 정서적 욕구를 다시 만나고, 그 시기의 상처를 치유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눈물을 흘리거나 분노를 표현하는 것도 치유의 일부이며, 치료자는 이 과정에서 내담자를 따뜻하게 지지합니다.

행동 변화 연습
새로운 사고와 감정을 실제 행동으로 연결하는 단계입니다. 내담자는 치료 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며 도식이 지배하는 기존 행동 패턴을 바꾸어 나갑니다. 예를 들어, "싫다고 말하면 관계가 끊어질 것"이라는 두려움 대신, 처음으로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말하는 연습을 합니다. 이는 작은 시도부터 시작해 점차 자신감을 쌓아가는 과정입니다.

5.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Q1. 도식치료는 일반 상담과 어떻게 다른가요?
도식치료는 어린 시절 형성된 부적응적 도식까지 깊이 다루어, 단순히 현재의 문제만이 아닌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심층 치료입니다.

Q2. 도식치료는 얼마나 오랜 기간이 걸리나요?
개인차가 크지만 일반적으로 수개월에서 1년 이상이 소요됩니다. 초기 인식과 재구성부터 행동 변화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Q3. 모든 사람이 도식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만성적인 정서적 어려움이나 관계 문제로 고통받는 경우 매우 효과적입니다.

6. 정리 (Conclusion)

심리 도식은 우리의 삶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심리적 구조입니다. 부적응적 도식과 그에 따른 대처 방식은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 오히려 고착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식치료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자기 이해와 정서적 자유를 얻기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정신 건강을 위한 심리 진단 시리즈 1편을 통해 더욱 많은 정보를 얻어가세요.

도식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길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보세요. (Take a step further into understanding and healing your schema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