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타키나발루29

현대자동차 말레이시아 재진출과 Inokom 엠블럼 전략 (Hyundai's CKD Return to Malaysia & Inokom Strategy) 1. 말레이시아 시장 재도전 (Re-entry into Malaysian Market)현대자동차는 2030년까지 말레이시아 쿨림 지역에 약 6,700억 원을 투자하여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노콤과 협력해 스타리아 모델을 CKD(조립 완성차) 방식으로 연간 2만 대 생산하며, 이 중 약 30%는 인근 동남아 국가로 수출됩니다. SUV, MPV는 물론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EV) 생산도 계획 중으로, 말레이시아를 단순 소비 시장이 아닌 전략적 생산 허브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분명합니다.과거에는 라비타, 클릭, 엑센트 같은 차량이 Inokom 엠블럼으로 판매되었으며, 이는 높은 관세와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전략이었습니다.2. Inokom 엠블럼 사용 이유.. 2025. 3. 28.
코타키나발루 자동차 시장 리포트 3탄 - 자동차 문화와 산업 (Kota Kinabalu Car Market Report Part 3: Auto Culture & Industry) 1.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의 구조적 문제 (Structural Issues in Malaysia's Auto Industry)말레이시아는 외제차의 직접 진출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대부분 말레이시아 대기업이나 투자회사, 또는 국영 투자회사가 일정 지분을 보유한 형태로 운영되며, 일본 차량들조차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생산되지 않으면 고율의 세금을 피할 수 없습니다.ASEAN 국가 간 세금 혜택은 존재하지만, 2018년부터 모든 차량에 판매세와 서비스세가 각각 10%씩 부과되면서 수입차 가격은 한국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되는 토요타와 혼다 차량은 동남아 전용 소형차로 가격이 저렴하지만, 생산되지 않는 모델은 혼다 CRV처럼 한국보다 1.3배, 토요타 알파드처럼 최대 1.5배.. 2025. 3. 28.
코타키나발루 자동차 시장 리포트 2탄 - 페루두아와 토요타의 관계 (Kota Kinabalu Car Market Report Part 2: Perodua & Toyota) 1. 페루두아의 역사 (History of Perodua)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강자 토요타와의 협력을 통해 말레이시아 내수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한 페루두아(Perodua)의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페루두아는 1993년 다이하츠와의 협력으로 설립된 브랜드이며, 주요 주주는 말레이시아의 투자 회사인 UMW Holdings와 국영 투자기관인 PNB(Permodalan Nasional Berhad)입니다.UMW Holdings는 말레이시아 대기업으로, 페루두아에 전략적으로 투자해 왔고 PNB는 말 그대로 정부 주도의 펀드입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페루두아는 사실상 반(半) 국영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톤(Proton)과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의 자국 브랜드들이 완전히 민간 독립 기업이 아니라는 .. 2025. 3. 28.
코타키나발루 자동차 시장 리포트 1탄 - 프로톤의 역사와 현실 (Kota Kinabalu Cars Series Part 1: Proton) 1. 말레이시아 국민차 프로톤의 역사 (History of Proton, Malaysia's National Car)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의 자동차 시장에서 자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페루두아가 가장 높고, 그 뒤를 토요타, 프로톤, 혼다가 잇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타에서 세 번째로 많이 보이는 자국 브랜드 프로톤(Proton)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프로톤은 1983년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의 계획 아래 미쓰비시와 기술 제휴를 통해 설립된 국영 자동차 브랜드입니다. 1985년 첫 모델인 "프로톤 사가(Saga)"가 발표되었으며, 이는 미쓰비시 랜서의 설계와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90년대에는 독자 모델을 내세웠지만 여전히 미쓰비시 기술의 의존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 독자 엔진을 .. 2025. 3. 28.
코타키나발루 전자제품 구입과 A/S 가이드 (Kota Kinabalu Electronics Buying & After-Service Guide) 1. 프리미엄 브랜드는 삼성과 엘지 (Premium Brands: Samsung & LG)코타키나발루의 고급 콘도나 중상위권 주거지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대형 가전은 삼성과 엘지입니다. 이 두 브랜드는 말레이시아에서도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되어 있으며, 세탁기, 냉장고, TV 등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입니다.2. 대중 브랜드는 일본, 가성비는 중국 (Japanese Brands vs. Chinese Value)소니, 도시바, 샤프 등 일본 브랜드는 여전히 인지도가 높지만, 디자인과 기능 면에서는 2010년대 스타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느낌입니다. 반면, 하이얼, 샤오미, TCL 등 중국 브랜드는 디자인과 가격 모두 매력적이지만, A/S 신뢰도는 낮은 편입니다.3. 샤오미는 코타에서 A/S 가능한.. 2025. 3. 27.
코타키나발루 아파트(콘도) 렌트에 관한 완벽가이드 - 4탄 (Complete Guide to Renting a Condo in Kota Kinabalu - Part 4) 1. 계약 시 주의사항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Signing a Contract)보증금은 월세의 두 달 치가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월세가 100만 원(670 USD)이라면 보증금은 200만 원(1340 USD)입니다. 문제는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일부만 환급받는 사례가 존재한다는 점입니다.코타키나발루를 떠날 계획을 드러내면, 일부 집주인들은 트집을 잡거나 지급을 지연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는 떠나는 세입자가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보증금 반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따라서, 계약 종료 전에는 지역을 떠날 계획이 없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유리하며,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두 달 치 월세는 보증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을 선호합.. 2025. 3. 27.